아프리카의 민족 분열: 후투, 투치, 트와
후투, 투치, 트와는 아프리카의 세 원주민 민족입니다. 이 중 트와족은 평균 키가 1.4미터 미만으로 세계에서 가장 키가 작은 민족입니다. 반면 평균 키 1.83미터 정도의 후투와 투치는 지구상에서 가장 키가 큰 민족으로 꼽힙니다.
후투와 투치는 주로 르완다, 부룬디, 우간다 등 중부 아프리카 국가에 거주했습니다. 1990년 이전 르완다 인구는 후투가 85%를 차지했고 투치는 14%에 불과했습니다. 소수였던 투치는 경제적으로 부유하고 정치적 영향력이 커 정부 관료나 사업가로 활약했습니다. 이러한 차이에도 양 민족 간 관계는 대체로 평화로웠습니다.

1994년 비극적 대학살
1994년 발생한 끔찍한 학살은 세계를 충격에 빠뜨렸으며 투치족을 멸종 직전까지 몰아넣었습니다. 이 학살은 유럽 열강의 식민지 정책과 오랜 민족 갈등이 폭력으로 표출된 결과였습니다.
이 비극의 뿌리는 식민지 시대에 조성된 역사적 민족 갈등에 있습니다. 미국이 과거 아프리카 독재자들과 반군을 지원했지만 1990년대에 이르러 아프리카인들은 지도자에 대한 신뢰를 완전히 상실한 상태였습니다. 자유와 민주주의 바람이 전 세계를 휩쓸던 시기, 1·2차 세계대전 이후 르완다는 독일과 벨기에의 식민지였습니다.

당시 르완다는 소수 투치족이 다수 후투족을 지배하는 구조였습니다. 식민지 세력이 물러난 후에도 벨기에는 후투에게 권력을 이양했지만 양 민족의 깊은 갈등을 해소하지 못했습니다.
도화선: 대통령 암살 사건
1994년 르완다와 부룬디 대통령이 탑승한 항공기가 수도 키갈리 상공에서 격추되었습니다. 투치족이 암살을 주도했다는 소문이 퍼지자 후투는 투치에 대한 대규모 보복을 시작했습니다.

다음날 투치족 총리와 3명의 장관이 잔혹하게 살해되며 학살은 본격화되었습니다. 후투 민병대와 시민들은 노약자와 여성, 어린이까지 포함한 모든 투치인을 표적으로 삼았습니다.
광기의 나라: 학살의 전개
약 4개월간 지속된 이 학살은 특히 잔혹했습니다. 공식 기록에 따르면 희생자 40%는 맥테로 살해당했고, 20%는 둔기로 구타당했으며 나머지는 총격이나 고문으로 죽음을 맞았습니다.
군인 외에도 수많은 후투 민간인들이 학살에 가담했습니다. 특히 12세 이상 투치 여성들은 집단 성폭력의 희생양이 되었으며 약 40만 명 이상이 강간당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편 평화유지군을 파병했던 미국은 아프리카 개입과 방관 양쪽에서 비판을 받았습니다. 많은 이들이 미국이 폭력 저지를 위한 책임을 방기했다고 비난했습니다.
학살의 파괴적 영향
르완다 학살의 영향은 재앙적이었습니다. 남성 인구 대부분을 상실한 국가는 노동력 붕괴와 경제 파탄을 맞았습니다. 사회 구조가 완전히 무너졌으며 수많은 여성은 과부가 되고 아이들은 고아가 되었습니다.

학살은 많은 후투 극단주의자들을 인접국으로 도피시켰습니다. 이 난민 유입은 주변국 불안정을 초래하며 이미 취약한 지역에 추가적인 폭력을 불러왔습니다.
국제사회의 대응: 방관과 공모
학살 이후 국제사회는 개입 부재로 강한 비판을 받았습니다. 서방 국가들을 포함한 다수 국가가 학살을 방치했으며 일부는 가해자에게 무기를 제공하기까지 했습니다. 이 사건은 식민지 유산이 남긴 민족 갈등을 방치했을 때의 결과를 적나라하게 보여주었습니다.
르완다 학살 당시 국제사회의 무대응은 글로벌 정치와 인권 담론에 깊은 상처를 남겼습니다. 이는 현대사에서 가장 아픈 장면으로 남아 있으며 분쟁 해결과 인권 정책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폐허 속에서 빛나는 회복력
학살은 르완다를 폐허로 만들었습니다. 청장년층 대부분이 사라지며 국가는 핵심 인력을 상실했고 경제는 완전히 붕괴되었습니다. 사회·정치·심리적 도전과제가 산적했습니다.
하지만 르완다의 회복 이야기는 탄력성의 본보기입니다. 엄청난 손실에도 국가는 재건을 위해 노력했습니다. 학살 이후 르완다는 경제 발전, 의료 개선, 안정화 측면에서 큰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1994년의 비극은 역사의 일부이지만 국가는 치유와 화해를 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결론
1994년 르완다 학살은 민족 증오의 파괴력, 식민지 유산의 위험성, 국제적 방관의 결과를 상기시키는 강력한 교훈입니다. 오늘날 르완다는 회복력의 상징이 되었지만 과거의 상처는 여전합니다. 이 어두운 역사를 기억하며 우리는 희생자를 추모하고 그러한 참상이 재발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