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북극권 바로 아래에 위치한 오이먀콘은 지구상에서 가장 추운 인간 거주지입니다. 여러분이 사는 곳이 아무리 춥더라도 오이먀콘의 극한 기온에는 미치지 못할 것입니다.
사진작가 아모스 채플의 오이먀콘 탐험

뉴질랜드 사진작가 아모스 채플은 주민들의 삶을 기록하기 위해 오이먀콘과 인근 도시 야쿠츠크를 용감하게 방문했습니다. 그는 겨울 평균 기온이 -58°F(-50°C)인 지역의 일상적 삶을 탐구했습니다.
오이먀콘은 지구상 가장 추운 거주지라는 타이틀을 보유한 ‘냉기의 극점’으로 불립니다. 약 500명의 주민 대부분은 원주민 야쿠트족 출신이며, 일부 러시아인과 우크라이나인도 거주합니다. 소련 시절 정부는 가혹한 환경에서 일하는 대가로 고임금을 제시하며 많은 노동자들을 유인했습니다.
역사적 기록: 관측 사상 최저기온

1924년 기록된 -96.16°F(-71.2°C)의 최저기온을 기리는 표지판이 오이먀콘에 세워져 있습니다. 채플은 방문 당시 마을의 으스스한 정적에 놀랐습니다. “거리는 완전히 텅 비었습니다. 추운 날씨 속 일상을 영위하는 사람들을 예상했지만, 실제로 주민들은 추위를 극도로 두려워했습니다”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이런 공포감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평균적인 오이먀콘의 날씨에 알몸으로 외출하면 1분 안에 사망할 수 있습니다. 채플은 주민들이 야외 활동 시 항상 재빨리 실내로 돌아가는 모습을 관찰했습니다.
오이먀콘의 독특한 인프라

오이먀콘에는 상점 한 개가 있지만 우체국, 은행, 주유소, 소규모 공항까지 갖추고 있습니다. 학교도 운영되는데, -60°F(-51°C)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한 수업이 진행됩니다. 모든 건물은 지하 4m에 위치한 영구동토층의 불안정성을 고려하여 높은 기둥 위에 세워졌습니다.

인근에는 결코 얼지 않는 천연 온천이 있어 농부들이 가축을 물을 먹일 수 있습니다. 오이먀콘 근처 24시간 주유소는 가혹한 환경 속에서도 마을이 유지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근로자들은 2주 단위 교대 근무로 필수 서비스를 유지합니다.
추위와 공존하는 식문화
<!– /wp:
외부 기온이 극도로 낮음에도 오이먀콘 주민들은 엔진 동파를 방지하기 위해 밤새 차량 시동을 켜둡니다. 하지만 이런 예방 조치에도 구동축이 가끔 얼어붙곤 합니다.
소비에트 시대의 삶: 노동과 통합

소련 시대에는 약속된 부와 보너스를 위해 많은 노동자들이 오이먀콘과 야쿠츠크 같은 외딴 지역으로 이주했습니다. 이들 노동자와 원주민 야쿠트족은 이 지역에 독특한 문화적 조화를 창출했습니다.
오이먀콘의 축산업

극한의 추위로 인해 오이먀콘에서는 작물 재배가 불가능합니다. 가축 사육이 이 지역 유일의 농업 형태입니다. 농부들은 동물들이 따뜻하게 지내고 얼지 않은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각별히 신경 써야 합니다.

축산 외에도 세계 최대 다이아몬드 생산업체 중 하나인 러시아 기업 ALROSA가 이 지역에서 주요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지역은 다이아몬드, 석유, 천연가스가 풍부해 지역 수도인 야쿠츠크가 부유하고 국제적인 교류가 활발한 도시로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최한류 도시의 관광산업

놀랍게도 오이먀콘에는 소규모 관광산업도 발달했습니다. 여름 기온은 32°C까지 오르며 견딜 만하지만, 따뜻한 계절은 고작 몇 달 동안만 지속됩니다. 오이먀콘은 극단적인 일조량 변화를 경험하는데, 겨울에는 낮이 3시간 정도만 지속되지만 여름에는 21시간까지 길어집니다. 이런 극한 환경에도 매년 약 1,000명의 관광객이 추위를 무릅쓰고 방문합니다.

오이먀콘에서 야쿠츠크까지 이어지는 ‘뼈의 길’로 알려진 이 도로는 굴라그 수용소 노동자들이 건설했습니다. 수천 명의 노동자가 공사 중 사망했으며, 도로의 별칭은 이 지역의 암울한 역사를 암시하는 어두운 상징으로 남아있습니다.
오이먀콘에서 야쿠츠크까지 차량으로 약 이틀이 소요됩니다. 야쿠츠크에서는 자동차, 사람, 공장에서 나온 수증기가 도시 전체에 짙은 안개를 형성합니다. 현지 시장에서는 차가운 공기 때문에 생선과 토끼고기가 판매될 때까지 얼어 있습니다.
오싹할 정도로 아름다운 풍경

야쿠츠크 시내는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들을 포함한 눈 덮인 건물과 조각상으로 가득합니다. 조각상들은 종종 눈으로 뒤덮여 도시의 초현실적 분위기를 더합니다. 야쿠츠크의 여성들은 사람과 차량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로 만들어진 짙은 안개 속을 걸어다닙니다.
결론: 지구상 가장 추운 곳에서의 생존

오이먀콘의 삶은 분명히 도전적이지만, 현지 주민들은 극한의 추위에 적응했습니다. 지구상 가장 가혹한 환경 속에서 보여주는 그들의 회복력과 생존 능력은 놀라울 정도입니다. 끝없는 추위에도 오이먀콘 주민들은 굳은 의지로 삶을 이어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