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콕 포스트는 대중에게 충격을 안긴 소름 끼치는 사건을 보도했습니다:
태국 캄팽펫 주의 한 사원에서 최소 73구의 시체가 숨겨진 채 발견되었습니다. 이 시체들은 승려들의 명상 수행 훈련용으로 사용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더욱 불안한 것은 이 사원에 600마리 이상의 악어가 서식하는 악어 수조가 있었다는 사실입니다…

초기 발견
이 사건은 5일 전 캄팽펫 경찰이 “영적 의식” 혹은 의심스러운 관행을 진행 중인 사원에 대한 제보를 받으면서 시작되었습니다. 현장에 도착한 경찰은 사원 내부에서 12구의 시체를 발견하고 경악했습니다.

초기 조사에서 이 시체들은 사망한 승려들의 유해로 확인되며 단순한 오해로 결론지어졌습니다.
수사 확대
그러나 여기서 끝나지 않았습니다. 대중의 분노에 힘입어 전국적인 수사가 진행되면서 더욱 끔찍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펫차분 주 포 탈레 군 반 노이 지역의 한 사원에서 11월 22일, 경찰은 깊은 숲 속에 위치한 티팍송 파 상냐탐 사원을 급습했습니다.

충격적 진실
“신성한 승려의 다르마의 숲”으로 불리던 이 사원 내부에서 경찰은 41구의 미확인 시체를 추가로 발견했습니다. 16,000제곱미터 규모의 명상 공간과 4개의 식당을 보유한 이 사원은 승려와 관광객들을 위한 평화로운 성지로 알려졌으나, 실제로는 대나무 명상 정자마다 4-5개의 관이 놓여있는 끔찍한 현장이었습니다.

이 정자들은 의식 장소에서 불과 500미터 떨어진 곳에 위치했으며, 사원 내부에는 높은 울타리로 둘러싸인 악어 수조가 존재했습니다. 600마리의 악어가 서식하는 이 수조는 소원을 비는 장소로 이용되며 방문객들의 접근이 통제되고 있었습니다.
불편한 해명

수장 승려는 모든 시체가 신도들로부터 기증되었으며 합법적인 사망 증명서를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시체와의 명상을 통해 승려들이 죽음에 대한 공포를 극복하고 영적 성장을 이루도록 하는 혁신적 수행법이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해당 관행의 보편성에 대해서는 확답을 피했습니다.
추가 수사
경찰은 관련된 또 다른 사원 왓 파 시빌라이에서 32구의 시체를 추가로 발견했습니다. 두 사원 모두 시체를 이용한 명상 수행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유가족들이 장례 절차에 동의했다는 진술이 나왔습니다.

윤리적 딜레마
태국 국립불교청 관계자는 수년 전 해당 사원을 방문해 시체 명상 관행을 목격했으나 특별한 문제점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진술했습니다. 모든 절차가 합법적이라면 법적 문제는 없을 수 있지만, 불교 교리와의 부합 여부가 논란의 중심에 있습니다.

불교적 관점
불교에서 죽음에 대한 성찰은 영적 성장의 중요한 요소로 여겨집니다. 그러나 실제 유해를 이용한 명상은 윤리적 문제를 야기합니다. 자발적 기증이 이루어졌는지, 사후 존엄성이 훼손되지 않았는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결론: 복잡한 도덕적 문제

이 사건은 영적 수행이라는 이름 아래 은폐될 수 있는 왜곡된 관행에 대한 경종을 울립니다. 모든 것이 합법적이라 해도 불교의 근본 정신과 얼마나 조화를 이루는지에 대한 철학적 성찰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 충격적인 사건은 종교 전통의 복잡성과 영적 성장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될 수 있는 잘못된 관행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