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기 세계에서는 다양한 연기 학파가 다른 배우들에 의해 채택됩니다.
일부는 “표현주의” 학파를 고수하는데, 이 학파의 배우는 캐릭터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며 자신의 기술로 역할을 연기하지만 공연이 끝나면 즉시 캐릭터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다른 이들은 정반대의 접근법인 “체험적” 학파를 택해 배우들이 완전히 캐릭터로 “변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자신의 생각과 표현을 역할과 융합시킵니다. 이 방법은 “연기”의 교묘함 없이 진정성을 제공하지만 배우에게 부담을 주며 캐릭터에서 벗어나기 어렵게 만듭니다.
그리고 “메소드” 학파가 있는데, 이는 체험적 접근법의 수정되거나 덜 극단적인 버전으로 볼 수 있습니다. 기본 개념은 모든 사람이 “감정적 기억”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배우가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캐릭터를 연기하기 위해 울어야 하는 장면에서 실제로 그런 경험이 없더라도 관련 기억을 통해 유사한 감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학파들은 단지 이해를 돕기 위한 방식일 뿐이며 실제로는 경계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변화의 달인”으로 알려진 크리스찬 베일은 역할을 위해 체중을 크게 늘리거나 줄이는 매우 “체험적”인 방식을 사용하지만, 배트맨을 연기할 때 진정으로 가상의 캐릭터가 될 수 있었을까요? 이는 논쟁의 여지가 있습니다.

(크리스찬 베일의 영화별 신체 변신)
본론으로 돌아와서, 할리우드는 수십 년 동안 메소드 연기에 지배당해 왔습니다. 그 이유는 인정받는 연기 거장들의 상당수가 메소드 연기자였기 때문입니다:
- 고(故) 말론 브란도
- 알 파치노, 로버트 드 니로, 더스틴 호프먼과 같은 베테랑 배우들
- 매튜 매코너허, 킬리언 머피, 앞서 언급한 크리스찬 베일과 같은 중견 배우들
- 앤드류 가필드와 같은 전설이 될 잠재력을 가진 차세대 배우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메소드 연기는 할리우드에서 인기가 떨어졌는데, 이는 배우들의 “캐릭터 몰입” 행동이 점점 더 기괴해지거나 촬영 후에도 캐릭터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사례가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초기 메소드 연기자들은 이렇게 괴짜 같지 않았으며 그들의 헌신은 종종 “전문성”으로 여겨졌습니다. 예를 들어 1970년대 로버트 드 니로는 ‘택시 드라이버’의 역할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뉴욕에서 실제 택시 운전을 했습니다.

(택시 드라이버)
마찬가지로 1990년대 알 파치노는 ‘여인의 향기’ 역할 준비를 위해 실제 생활에서 맹인처럼 생활했습니다.
하지만 팬들이 “유제(劉帝)”라고 부르는 다니엘 데이-루이스는 메소드 연기를 터무니없는 수준으로 끌어올렸습니다.
1989년 뇌성마비 작가이자 화가를 연기한 ‘내 왼발’ 촬영 당시 데이-루이스는 장애인들과 친구가 되고, 현장에서 휠체어를 사용했으며, 촬영 중에도 캐릭터를 유지했고 심지어 스태프가 숟가락으로 먹이를 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내 왼발 스틸)
이 영화로 그는 수많은 찬사와 상을 받았으며 이후 점점 더 메소드 연기에 매진했습니다. 모호크 전사를 연기할 때는 촬영 내내 총을 소지했고, 죄수를 연기할 때는 독방에서 시간을 보내며 스태프에게 찬물을 끼얹고 모욕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그는 타인에게 엄격했지만 자신에게는 더욱 가혹했습니다. 당연히 그의 방법은 업계에서 찬사와 비판을 동시에 받았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데이-루이스 이후 더 많은 배우들이 그의 방식을 채택하기 시작했다는 점입니다.
이것은 결국 그들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스태프들에게도 문제를 안겼습니다…
1999년 짐 캐리는 ‘맨 온 더 문’에서 촬영장 전체가 자신을 캐릭터 이름인 “앤디”로 부를 것을 고집했으며 감독의 지시에도 캐릭터를 유지하며 무려 4개월 동안 이 방법을 고수했습니다.

(맨 온 더 문)
2017년 넷플릭스는 캐리의 이런 행동을 다룬 다큐멘터리를 제작했고, 마틴 프리먼은 인터뷰에서 캐리의 행동을 강하게 비판하며 욕설을 연발했습니다:
“짐 캐리는 사랑스럽고 영리한 사람이라고 진심으로 믿지만, 그가 한 행동은 내가 본 것 중 가장 망할 자아도취적이고 이기적이며 나르시시즘적인 짓이었습니다.”
“이건 완전 아마추어 수준이에요. 프로 배우의 태도가 아니죠. 다른 사람이 이랬다면 바로 감옥에 갔을 거예요. 해고는 기본이고요.”

(마틴 프리먼의 짐 캐리 비판)
2006년 메릴 스트립은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에서 데이-루이스식 메소드 연기를 시도했는데, 차갑고 거만하며 냉담한 보스 역할을 위해 촬영 중간 휴식시간에도 다른 배우들과의 접촉을 피했습니다…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스틸)
영화 개봉 15주년을 맞아 스트립은 엔터테인먼트 위클리와의 인터뷰에서 고백했습니다:
“끔찍했어요! (촬영 후) 다른 배우들이 수다 떠는 소리를 들으며 혼자 트레일러에 앉아있어야 했죠. 정말 우울했어요!” “그 후 저는 스스로에게 말했어요. 이게 보스가 되는 대가라고. 다시는 메소드 연기를 시도하지 않았습니다.”
스트립 이후 가장 비극적인 사례는 히스 레저일 것입니다.
레저의 ‘다크 나이트’ 조커 연기는 여전히 전설적이지만, 이렇게 불안정한 캐릭터를 연기한 대가는 컸습니다. 레저는 몇 주 동안 방에 틀어박혀 조커의 배경 이야기를 쓰며 캐릭터의 심리에 몰입하려 했고, 캐릭터로 “변하기”를 원했습니다.
현실과 역할 사이의 강렬한 갈등은 심각한 불면증을 유발했고, 이는 수면제 의존으로 이어졌습니다. 촬영 종료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레저는 과다 복용으로 사망했습니다…
이전 사례들이 메소드 연기로 스스로를 고통스럽게 한 경우라면, 다음 사례들은 배우들이 타인을 괴롭히는 경우입니다.
2013년 ‘그레이 50가지 그림자’의 제이미 도넌은 TV 시리즈 ‘더 폴’에서 정신이상 연쇄살인범을 연기하며 캐릭터의 심리를 체험하기 위해 이렇게 고백했습니다:
“한 번은 누군가를 추적하는 느낌을 얻기 위해 기차에서 내린 여성을 따라간 적이 있습니다.”
이미 법적 경계선을 넘나드는 행위였습니다…

(제이미 도넌)
2016년 자레드 레토는 ‘수어사이드 스쿼드’에서 조커를 연기했습니다. 히스 레저의 연기가 넘기 힘든 벽이었기에 레토는 캐릭터가 되기 위해 다양한 기행을 벌였습니다…
촬영 전 그는 공동 출연진에게 죽은 쥐(마고 로비), 총알(윌 스미스), “끈적한 플레이보이 잡지”, 죽은 돼지(전체 스태프) 등 일련의 “선물”을 보냈습니다.
나중에 E! 매거진에 중고 콘돔과 항문 비드를 각 출연진에게 보냈다고 밝혔습니다…

(자레드 레토의 기이한 선물 인정)
그의 변명은: “조커는 개인 공간이나 경계를 존중하지 않는 인물입니다.”
이로 인해 레토는 강한 비판을 받았고, 후에 마고 로비에게 죽은 쥐를 보낸 것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번복했습니다. 하지만 이상한 선물을 받은 사람이 로비 외에도 더 있었기에 그의 주장은 믿기 어려웠습니다…

(후속 부인)
요즘 들어 더 많은 배우들이 메소드 연기를 버리는 듯합니다. 예를 들어 유명한 “한니발” 매즈 미켈슨이 있습니다.
2022년 GQ와의 인터뷰에서 미켈슨은 메소드 연기에 대한 혐오감을 드러냈으며, 인터뷰 제목은 “미켈슨, 조니 뎁 대신 그린델왈드役 맡아… 메소드 연기 경멸”이었습니다.

(매즈 미켈슨의 GQ 인터뷰)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메소드 연기) 전부 말도 안 되는 소리입니다.” “만약 결과적으로 형편없는 영화를 만들었다면 무엇을 한 겁니까? 물론 ‘캐릭터를 깨지 않았지만’ 그걸 칭찬받아야 하나요? 애초에 캐릭터를 깨버렸어야죠!” “연쇄살인범을 연기하려면 어떻게 준비하나요? 2년 동안 살인범을 연구하나요?”
직접적으로 제이미 도넌을 비판하지는 않았지만, 이 발언은 완벽하게 들어맞습니다…
마찬가지로 ‘트와일라잇’의 로버트 패틴슨은 메소드 연기를 이렇게 요약했습니다:
“메소드 연기를 채택하는 건 항상 나쁜 놈 역할일 때뿐이에요. 만약 모두에게 친절한 캐릭터라면 아무도 ‘캐릭터에 몰입’하지 않죠. 그땐 아무도 ‘메소드’를 안 써요.”
올해 초 나탈리 포트만은 월스트리트 저널과의 인터뷰에서 메소드 연기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저도 깊이 캐릭터에 몰입한 적이 있지만 솔직히 여성들은 이런 사치를 누릴 수 없어요. 만약 제가 모두에게 ‘재키 케네디’라고 부르라고 강요한다면 아이들과 배우자가 이해하지 못할 거예요…”

(인터뷰 제목: 나탈리 포트曼이 “메소드 연기”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
결론적으로 배우들이 역할 탐구에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는 것은 의심할 여지없이 전문성의 표시이지만, 죽은 쥐를 보내거나 동료를 혼란스럽게 하거나 낯선 사람을 스토킹하는 행위에 대한 면죄부가 될 수는 없습니다… 아무리 “메소드”를 강조해도 정당화될 수 없습니다.